냉수한잔21 GitHub의 용도 재발견 The GitHub Generation: Why We’re All in Open Source Nowhttp://www.wired.com/opinion/2013/03/github/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라 번역되죠? CVS나 SubVersion의 next generation으로 대우받기도 하구요. Git이나 mercurial 등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이 기사에는 Git을 호스팅 하고 있는 GitHub의 새로운 활용에 관해 간단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open source 자료들을 찾다보면 거의 100% 마주치게 되는 github라는 사이트. 그곳이 전혀 의도되지 않았던 새로운 방식으로 다양한 사람들에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저는 mercurial을 사용중입니다. 주로 BitBucket을 사용하구요. 개인적인.. 2013. 3. 11. AC와 DC 전류 중 어느쪽이 더 아플까? 출근하다 재밌는 동영상을 발견해 공유합니다. 직류와 교류 중 어느쪽이 더 아프냐를 직접 실험을 통해 보여줍니다.전자 키트 만들며 놀던 시절 9V 건전지 잔량 체크는 혓바닥으로 했었는데, 나름 의미있는 확인방법이었군요-_-;여튼 따라하진 마세요. 처음엔 ㅋㅋ거리며 보다 문득 고문기술자 이모씨의 기자회견이 생각났었습니다. 참조기사 : '고문기술자' 이근안 "전기고문? 건전지로 겁줬을 뿐" 전기가 몸에 흐를 때 중요한 것은 전압이 아닙니다. 전류죠. 단 1mA만 흘러도 치명적일 수 있어요. 이 동영상에도 나오는 것 처럼 9V를 맨손으로 만지면 아무것도 아니지만 혓바닥처럼 물기가 많고 저항이 낮은 곳에는 전류가 더 많이 흐르고 그만큼 고통도 큽니다. 2013. 3. 8. 스마트폰 고속 충전의 조건 스마트폰 쓰시나요? 전 갤럭시 노트 사용중입니다. 덩치만큼이나 소모전력이 상당한 모델이죠. 게임 돌리면 3~4시간만에 삑삑거립니다. 게임이야 뭐 시간남을 때 집에서만 하니 배터리 교환해 가며 합니다만, 운전중 티맵 돌릴때엔 답이 없더군요. 충전속도가 소모속도보다 더 느립니다. 충전기 연결해 두고 있어도 배터리는 계속 빠져나가는거죠. 충전기 용량이 부족해서 그런것은 아닙니다. 1A짜리거든요. 그럼 차량용 정품 충전기를 사면 해결될까? 전자회로로 먹고산다는 놈이? 돈 몇푼이 아까워서 라기 보단 명색이 카이스트 전자과 출신이 이거 하나 해결못하겠나 싶어 이리저리 뒤져 봤습니다. 결론은 고속 충전의 조건은 딱 3가지 입니다. 1. 충전기 용량먼저 당연하게도 충전기 용량이 1A급은 되어야 합니다. 갤럭시노트에서 .. 2013. 2. 12. 리튬 이온, 리튬 폴리머 배터리의 배부름 현상 요즘 하나같이 배터리 전원으로 동작하는 과제들만 해온것 같습니다. 다양한 배터리들을 만져보고 있는데요... 배터리의 에이즈라불리우는 배부름 현상에 대해 몇가지 이야기 하려 합니다. 배부름 현상, 영어로는 swelling 이라 부릅니다. 배터리가 빵빵해 지는 것을 말하는데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리튬 폴리머 배터리에서 더 강하게 관찰됩니다. 사실 배부름 현상 자체는 리튬이온과 리튬폴리머 양쪽에서 모두 발생합니다만, 리튬이온 전지는 단단한 금속캔으로 포장되어있다보니 내부 압력이 커져도 캔이 어느정도 버텨주는 것일 뿐입니다. 반면 리튬폴리머는 알루미늄 포일 같은 재질로 포장되어있어 내부압력이 조금만 증가해도 금방 빵빵해지죠. 제 휴대폰 배터리는 리튬이온입니다. 눈으로 보일 정도는 아니지만 충전기에 들어가기를 .. 2011. 9. 14. 이전 1 2 3 4 5 6 다음